SELLing SUNset

부동산 ; 공인중개사 VS 부동산 디벨로퍼 본문

공부의기록

부동산 ; 공인중개사 VS 부동산 디벨로퍼

Sellin 2021. 11. 1. 11:18

부동산과 관련된 직업 중 누구나가 떠올릴 수 있는 직업은 공인중개사일 것이다. 하지만 공인중개사 외에 부동산에 관련한 다양한 영역과 회사들이 있고 또한 경험있고 기획력이 있는 공인중개사라면? 부동산 디벨로퍼로써의 자격을 어느 정도 갖추게 되지 않을까한다. 

 

"부동산 직업의 세계와 취업의 모든 것"(민성식 저)

_부동산에 관련한 다양한 영역과 회사들. 국내 대기업 자산을 관리하는 부동산 자산관리회사(한화에스테이트, 에스원, S&I, HDC 등등), 부동산 개발회사(SK D&D, KT Estate 등), 부동산 금융회사(이지스 자산운용, 캡스톤 자산운용, 젠스타메이트 등), 부동산 컨설팅사(CBRE, JLL, 애비슨영 등) 등 

 

"최근 건설 사업의 발전 방안에 대한 동향"

건설산업으 분석하는 회계법인, 증권 리서치, 컨설팅 사들은 국내 건설사들로 하여금 건설의 시공 뿐만 아니라 부동산을 직접 운영하고 분양하고, 임대 관리 및 매각까지 하는 종합부동산 회사로 발전해야 한다. 현대엔지니어링, 호반건설, 우미건설 등이 부동산 분야의 운용능력을 확대하기 위해 M&A 등 여러 전략을 활용하고 있다. 

 

부동산 디벨로퍼는 다른 말로 시행사 라고도 하며, 모든 종류의 부동산을 다룬다는 점에서 토지와 주택만 개발하는 토지주택공사, 지방공사 등 공공개발 주체나 주택만 건설하는 민간주택 건설사업자와 구별된다고 한다. 또한 기획, 시공, 분양 등 전 과정을 관리하기 때문에 시공사만 하는 흔히 시공건설회사와도 구별된다. 

 

디벨로퍼는 다른 개발주체와 달리 적은 자본과 소수인력으로 개발에 참여하는데 전문지식으로 무장한 인력이 주도 하며 법, 금융, 시공, 평가, 중개 등 관련 전문가 네트워크를 잘 운영해야만 하는 점에서 그 전문성이 드러난다. 

 

디벨로퍼 업무 흐름도 

상품기획 ▶ 대상토지선정 및 기본 설계 ▶ 시장분석 및 사업성 검토 ▶ 토지매입 (PF_프로젝트파이낸싱)▶ 설계 및 인허가 (시공사 선정)▶ 상품화, 마케팅 기획 ▶ 분양 (착공)▶ 계약자 및 시공관리 ▶ 완공 후 입주자 관리  

 

여기서 프로젝트 파이낸싱이라고 하는 것은 담보, 채권을 가지고 금융에서 자금을 조달하는 것이 아닌 순수 사업성을 가지고 자금 조달이 가능한 부분이 있다. 최근 건축주와 투자자를 연결하는 테라펀딩과 같은 P2P를 활용한 금융시스템이 등장하면서 기획력과 실행력이 있다면 소위 1인 디벨로퍼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쉽게 도전할 수 없겠지만 말이다.)

 

어찌되었든 공인중개사는 부동산 거래의 중추일 것이고 디벨로퍼는 부동산 개발의 핵심일 것이다. 

부동산과 관련된 직업. 정말 다양하다.